[책] 'The Never Let Me Go' by Kazuo Ishiguro
본문 바로가기

도서 리뷰

[책] 'The Never Let Me Go' by Kazuo Ishiguro

반응형

'The Never Let Me Go'

 

 

이시구로 가즈오의 소설 'The Never Let Me Go'는 인간 존재와 사랑, 그리고 우리 앞에 놓인 피할 수 없는 운명의 복잡다단함을 파헤친 걸작으로, 2005년에 처음 출간된 이 디스토피아 공상과학 소설은 전 세계 독자들을 사로잡으며 현대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The Never Let Me Go'는 화자인 캐시 H.의 눈을 통해 삶과 정체성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탐구하는 심오하고 감동적인 여정으로 안내합니다.

 

 

'The Never Let Me Go' 책 표지
'The Never Let Me Go' 책 표지 / Faber & Faber / 2010

 

 

'The Never Let Me Go' 책의 주제와 핵심 문장들

 

대체 현실을 배경으로 한 이 이야기는 겉보기에는 목가적인 영국 기숙학교인 헤일샴에 다니는 어린 학생들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하지만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헤일샴과 그 학생들이 평범하지 않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이야기는 캐시, 루스, 토미라는 세 친구의 삶을 따라가며 각자의 독특한 성장 과정과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끔찍한 진실을 헤쳐나갑니다.

 

소설의 중심 주제는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죽음이라는 가혹한 현실을 탐구하는 것으로, 등장인물들을 기다리고 있는 불안한 운명을 서서히 이해하게 되면서 이야기는 불길한 예감으로 가득 차게 됩니다. 이 대체 세계에서 인간은 오직 장기 적출을 목적으로 복제되는데 헤일샴의 학생들은 복제되지 않은 인간에게 중요한 장기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클론으로, 완곡한 표현으로 "기증자 donors"라고 불립니다.

 

이 소설은 현재 간병인으로 일하며 고통스러운 기증을 하는 기증자들을 돌보는 전 하일샴 학생인 캐시 H.의 회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캐시의 내성적인 내레이션은 설득력 있으면서도 가슴을 울리는 목소리로 그녀의 세계와 루스 및 토미와 형성한 깊은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이야기의 감정적 핵심으로 끌어들입니다.

 

캐시의 가장 친한 친구 중 한 명인 루스는 질투와 불안감,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미루고 싶은 절박한 마음과 씨름하는 복잡한 인물입니다. 반면 토미는 조용하고 품위 있게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서는 온화한 영혼입니다. 두 사람의 삶이 점점 더 얽히면서 소설은 우정, 사랑, 정해진 운명 앞에서 정체성을 찾는다는 주제를 탐구합니다.

 

 

"We all know it. We're modelled from trash. Junkies, prostitutes, winos, tramps – we're everyone's rubbish."

 

 

순수함의 상실

'The Never Let Me Go'에서 가장 가슴 아픈 주제 중 하나는 순수함의 상실입니다. 하일샴의 어린 등장인물들은 운명을 거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믿으며 어린아이 같은 순수함으로 삶을 시작하지만 나이가 들고 자신의 목적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면서 그 순수함은 점차 사라져 갑니다. 이 주제는 "우리 모두는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쓰레기로부터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약쟁이, 매춘부, 주정뱅이, 부랑자 등 우리는 모두 쓰레기입니다."라는 문장으로 그들이 처한 잔인한 현실을 강조하며 인간 고유의 존엄성을 상실했음을 강조합니다.

 

 

"We didn't have the vocabulary to articulate what we were doing. We knew we'd never be able to tie down what happened to us at Hailsham. But we all felt it, didn't we? That something was closing in on us, moving slowly but inexorably, that we were no longer children."

 

 

사랑과 그리움

모든 형태의 사랑은 등장인물들의 삶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토미에 대한 캐시의 깊고 지속적인 사랑, 루스와의 복잡한 우정, 연결에 대한 갈망은 모두 내러티브에 복잡하게 엮여 있습니다. 'The Never Let Me Go'의 사랑이라는 주제는 피할 수 없는 운명에도 불구하고 등장인물들의 인간성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 주제는 캐시가 "우리는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표현할 어휘가 없었어요. 우리는 헤일샴에서 우리에게 일어난 일을 결코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느꼈죠, 그렇죠? 무언가가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는 것, 느리지만 끈질기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 우리가 더 이상 어린아이가 아니라는 것을요."라는 문장에서 잘 드러납니다.

 

 

"We took away your art because we thought it would reveal your souls. Or to put it more finely, we did it to prove you had souls at all."

 

 

정체성과 자아 발견

'The Never Let Me Go'의 등장인물들은 가혹한 현실에 직면하면서 정체성과 자아 발견에 대한 질문과 씨름합니다. 이들은 자신을 장기 기증자로만 바라보는 세상에서 의미와 목적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이 주제는 "우리는 당신의 예술이 당신의 영혼을 드러낼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당신의 예술을 빼앗았습니다. 더 세밀하게 말하자면, 당신들에게 영혼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그렇게 했습니다."라는 문장으로 표현됩니다.

 

 

"We all know it's almost certainly too late for us, but there's still time for you. Do you understand that? There's still time."

 

 

과학과 기술의 윤리

이시구로의 소설은 또한 과학과 기술에 대한 중요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합니다. 소설에 묘사된 사회는 장기 적출을 위해 인간을 복제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으며, 과학적 진보의 한계와 그러한 발전의 도덕적 의미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윤리적 딜레마라는 주제는 캐시가 "우리 모두는 이미 너무 늦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아직 당신에게 시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해하시겠어요? 아직 시간이 있어요."라는 문장을 통해 전해집니다.

 

 


 

 

'The Never Let Me Go'는 깊은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감정의 울림을 주는 소설로 저자인 이시구로 가즈오의 스토리텔링 능력은 섬뜩할 정도로 친숙하면서도 당황스러울 정도로 디스토피아적인 세계를 창조합니다. 무엇보다도 이시구로의 글은 절묘하기 그지없습니다. 그의 산문은 우아하고 절제되어 있어 이야기의 감정적 무게를 담아냅니다. 그는 캐시의 1인칭 내레이션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독자가 그녀의 생각과 감정에 친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독자를 캐릭터의 세계로 끌어들이고 이야기에 제시된 도덕적, 실존적 딜레마에 직면하도록 강요합니다.

 

캐릭터 자체는 각자의 결점과 취약점을 가졌으며 내레이터인 캐시는 특히 매력적인 캐릭터로 그녀의 성찰과 내성적인 사색은 등장인물들의 감정적 혼란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하고 그들의 곤경을 더욱 실감 나게 만듭니다. 루스와 토미 역시 복잡한 인물로, 이시구로는 우정에서 사랑, 질투에서 용서에 이르는 관계의 역학을 능숙하게 표현합니다.

 

'The Never Let Me Go'의 주제적 깊이는 이 소설이 돋보이는 또 다른 이유입니다. 이시구로는 인간의 조건, 정체성의 본질, 과학적 진보의 윤리적 함의에 대한 심오한 질문을 탐구함으로써 지적으로 자극적일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깊은 감동을 줍니다. 이 책은 인류의 본질과 사회로서 우리가 내리는 도덕적 선택에 대해 숙고하게 합니다.

 

등장인물들의 관계는 깊이 있는 감정으로 묘사되어 깊은 감동을 선사하며 온갖 역경에도 불구하고 토미를 향한 캐시의 끈질긴 사랑은 인간 정신의 회복력을 보여줌으로써 절망 속에서도 사랑은 위안과 의미를 제공하는 힘이 있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The Never Let Me Go'는 정서적 울림 외에도 과학적 발전을 둘러싼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강력한 논평의 역할을 합니다. 이시구로는 클론을 일회용 장기 기증자로 여기는 사회를 묘사함으로써 그러한 세상의 도덕적 함의에 직면하게 합니다. 이 소설은 무분별한 과학 발전이 가져올 결과와 인간 생명에 대한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유도하고 기술 발전이 윤리적 경계를 계속 허물고 있는 이 시대에 적절한 화두를 던집니다.

 

결론적으로, 이시구로 가즈오의 'The Never Let Me Go'는 서정적인 산문, 매력적인 캐릭터, 심오한 주제와 사랑, 상실, 정체성, 디스토피아 사회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탐구를 통해 삶의 연약함과 인간 정신의 지속적인 힘을 상기시켜 줍니다.

 

 

저자 소개

 

Kazuo Ishiguro는 영국의 저명한 소설가이자 가장 유명한 현대 소설 작가 중 한 명으로, 1954년 일본 나가사키에서 태어나 다섯 살 때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이주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다문화적 배경과 이민자로서의 경험은 그의 글쓰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시구로는 켄트 대학교에서 영어와 철학을 공부한 후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교에서 문예창작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 시기에 그는 작가로서의 기술을 연마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서술 스타일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시구로는 문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노벨 문학상을 비롯해 수많은 상과 찬사를 받았습니다. 그의 글은 우아하고 섬세하며 복잡한 주제를 깊이 탐구하는 것이 특징으로, 종종 기억, 정체성, 사랑, 인간의 조건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시구로의 대표 작품으로는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The Never Let Me Go'(2005)를 비롯해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의 삶을 되돌아보는 영국인 집사 스티븐스의 회상을 통해 후회, 의무, 시간의 흐름이라는 주제를 탐구한 'The Remains of the Day'(1989)가 있으며 이 작품은 1989년 맨부커상을 수상했으며 앤서니 홉킨스와 엠마 톰슨 주연의 영화로 각색되어 호평을 받았습니다. 또한 인간과 인공 지능의 관계에 대해 인공 친구인 클라라의 내레이션으로 의식, 사랑, 존재의 본질에 대한 주제를 탐구한 'Klara and the Sun'(2021)과  부모님의 실종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어린 시절 고향인 상하이로 돌아간 형사 크리스토퍼 뱅크스의 삶을 따라가며 기억, 정체성, 기억의 불신뢰성 등의 주제를 다룬 'When We Were Orphans'(2000)가 있습니다.

 

이시구로의 글쓰기 스타일은 절제되고 섬세한 것이 특징이며 그는 종종 내면의 생각과 감정을 절제되고 통제된 방식으로 드러내는 신뢰할 수 없는 화자를 활용합니다. 이러한 절제 덕분에 독자는 캐릭터와 주제에 깊이 몰입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강력한 감정적 효과로 이어집니다.

 

전반적으로 이시구로 가즈오는 전 세계 독자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문학적 거장이며, 인간 경험의 복잡성을 뉘앙스와 감성으로 탐구하는 그의 능력은 현대 문학의 정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의 소설은 계속해서 연구되고, 다른 형태의 미디어로 각색되며, 인간 조건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으로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