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기 안내서
A Field Guide to Getting Lost
리베카 솔닛Rebecca Solnit의 "길 잃기 안내서A Field Guide to Getting Lost"는 지도와 명확한 목적지가 있는 일반적인 여행 가이드북이 아닌, 문자 그대로 그리고 비유적으로 길을 잃는 행위 자체에 대한 명상입니다. 솔닛은 서로 연결된 일련의 에세이를 통해 불확실성의 공간, 미지의 세계, 그리고 익숙한 길을 벗어났을 때 발견되는 변화의 힘을 탐구하도록 초대합니다. 그녀는 개인적인 일화, 역사적 기록, 미술 비평, 그리고 철학적 성찰을 함께 엮어냅니다. 이 책은 독자들이 방향 감각 상실을 포용하고, 우리 삶과 주변 세계의 지도에 없는 영역에서 아름다움을 찾도록 격려합니다. 그것은 어쩌면 가장 가치 있는 발견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완전히 확신하지 못할 때 이루어진다고 제안합니다. 이 책은 취약성과 그것이 시작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여정을 옹호하는 작품입니다.
"길 잃기 안내서" 책의 주제와 핵심 문장들
"길 잃기 안내서"의 중심 주제는 길을 잃는 것의 가치와 본질입니다. 솔닛은 물리적으로 길을 잃는 행위, 불확실성이라는 감정 상태, 기억의 상실, 사람들의 상실, 그리고 오래된 정체성을 벗어던지는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개념을 탐구합니다. 이 책은 에세이 모음집으로, 솔닛 자신의 경험과 그녀의 지적 방랑을 통해 서사의 실마리가 나타납니다.
그녀는 욕망과 미지를 상징하는 매혹적이고 도달할 수 없는 지평선의 색인 "먼 곳의 푸름blue of distance"을 깊이 파고들며 여기에는 초기 탐험가, 잃어버린 사랑, 어린 시절의 기억, 예술과 자연과의 만남에 대한 이야기가 섞여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녀는 초기 미국 역사에서 원래 문화에 "길을 잃은lost" 포로들이 때때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과 함께 새롭고 어쩌면 더 나은 삶의 방식을 찾았다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녀는 또한 황폐화와 부패의 개념을 탐구하며, 상실이 새로운 성장과 이해를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야기 전개는 솔닛 자신이 자신의 생각과 연구 속에서 길을 잃고, 우리를 마음과 마음의 매혹적이고 때로는 불안하지만 궁극적으로 보람 있는 영역으로 초대하는 지적이고 감정적인 여정입니다.
"Leave the door open for the unknown, the door into the dark. That’s where the most important things come from, where you yourself came from, and where you will go."
미지의 세계, 어둠으로 향하는 문을 열어두세요. 그곳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이 나오고, 여러분 자신이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갈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책의 핵심 메시지 중 하나인 심오한 경험과 자기 발견의 원천으로서 불확실성을 포용하는 것을 요약합니다. "어둠으로 향하는 문"은 익숙하고, 예측 가능하며, 삶의 잘 알려진 길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강력한 비유입니다. 솔닛은 진정한 성장, 창의성, 심지어 우리의 본질("당신 자신이 거기서 왔다")이 이러한 어두운 공간에서 나온다고 제안합니다.
그것은 평범하고 통제된 것을 넘어선 의미에 대한 깊은 인간적 갈망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확실성과 명확한 계획을 중시하는 세상에서 이 문장은 설득력 있는 반대 서사를 제공하며, 그것은 때때로 모르는 것이 용인될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 것들"이 우리 삶에 들어오기 위해 필요하다는 느낌을 확인시켜 줍니다. 그것은 취약해질 수 있는 허락을 주고, 지도 없이 탐험하며, 미지의 그림자 속에 귀중한 것이 있다는 것을 신뢰하도록 하기 때문에 공감을 얻습니다. 그것은 용기에 대한 요구이자 삶의 궤적, 즉 탄생("당신 자신이 거기서 왔다")부터 죽음("당신이 갈 곳")까지 본질적으로 신비롭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To lose yourself: a voluptuous surrender, lost in your arms, lost to the world, utterly immersed in what is present so that its surroundings fade away."
자신을 잃는다는 것: 품에 안겨 세상에 빠져들고, 현재에 완전히 몰입하여 주변 환경이 사라지는 풍요로운 항복.
여기서 솔닛은 특정 종류의 "길 잃음"—불안이 아니라 깊은 몰입과 연결—을 묘사합니다. 그것은 순간, 사람, 또는 활동에 너무 몰두하여 걱정과 경계를 가진 자아가 사라지는 경험에 관한 것입니다. "풍요로운 항복"은 이 상태의 즐거움과 충만함을 아름답게 포착합니다.
이 문장은 심오한 연결과 몰입 상태에 대한 우리의 욕구에 호소하며, 그것은 사랑("당신의 품에 갇히는 것"), 자연, 예술, 또는 어떤 열정적인 추구에서든 완전히 현재에 존재하는 즐거움을 강조합니다. 끊임없는 산만함과 파편화된 주의의 시대에 "완전히 몰입하는" 아이디어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매력적입니다. 그것은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을 잃는 것이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깊이 풍요로운 경험이며, 일상적인 자아를 초월하고 더 큰 무언가와 연결되는 방법임을 시사합니다.
"The blue of distance comes from the scattering of light by air. The air is the distance."
먼 곳의 푸름은 공기에 의한 빛의 산란에서 비롯됩니다. 공기가 곧 거리입니다.
이 문장은 겉보기에는 단순한 과학적 관찰이지만, 책 전체에 걸쳐 은유적인 무게를 지니고 있습니다. 솔닛은 욕망, 도달할 수 없는 것, 상상된 것, 그리고 가능성의 지평을 상징하는 "먼 곳의 푸름"으로 반복해서 돌아갑니다. 그 물리적 기원—우리와 먼 물체 사이에 있는 공기에 의한 빛의 산란—을 설명함으로써 그녀는 비물질적이고 시적인 것을 유형적인 것과 연결합니다.
이 문장은 우아한 단순함과 심오한 함의 때문에 인상적입니다. 그것은 깊이 낭만적이고 철학적인 개념(멀고 미지의 것의 매력)을 과학적 현실에 기반합니다. "공기가 곧 거리이다"는 우리와 우리의 욕망 사이의 공간을 그 자체로 거의 실체처럼 만들며, 우리가 갈망하는 것을 분리하고 정의하는 무언가로 만듭니다. 멀리 떨어진 푸른색의 아름다움은 그것을 멀리 떨어뜨려 놓는 바로 그 매개체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이는 손이 닿지 않는 무언가를 갈망해 본 적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공감을 얻으며, 갈망 자체와 그것이 차지하는 공간이 나름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게 합니다. 그것은 우리의 욕망의 내면 풍경을 물리적 세계의 외부 풍경과 간결하고 시적인 방식으로 연결합니다.
리베카 솔닛의 "길 잃기 안내서"는 우리를 저자와 함께 지적, 감정적, 물리적 풍경을 방랑하도록 초대하는 아름답게 구성된 사색적 에세이 모음입니다. 솔닛의 작품은 직설적인 서사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기억, 역사적 일화, 미술 비평, 그리고 철학적 탐구로 짜인 태피스트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신선합니다.
핵심 전제—방향 감각 상실, 모르는 것, "길을 잃는 것"에 엄청난 가치가 있다는 것—는 도전적이면서도 깊이 위로가 됩니다. 효율성, 명확한 목표, 끊임없는 연결성에 많은 강조가 이루어지는 현대 세계에서, 미지의 것을 기꺼이 포용한다는 생각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진정한 발견, 자기 이해, 그리고 창의성이 종종 이러한 지도에 없는 영역에서 번성한다고 설득력 있게 주장합니다.
이 책은 각각 "상실"과 "미지의 것"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는 에세이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제와 모티프가 반복되고 얽혀, 일관성 있지만 구불구불한 여정을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먼 곳의 푸름"이라는 모티프는 특히 인상적이며, 도달할 수 없는 것의 매력, 우리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것의 아름다움을 상징합니다. 솔닛이 이 색상을 문자 그대로 그리고 은유적으로 탐구하는 것은 이 책의 가장 기억에 남는 측면 중 하나입니다.
이 책은 여러 수준에서 공감을 주며 그것은 제가 표류한다고 느꼈던 경험, 낯선 상황에 발을 들여놓았던 경험, 그리고 종종 그 결과로 얻어진 예상치 못한 성장을 떠올리게 합니다. 솔닛은 종종 불편한 이러한 상태를 실패가 아니라 풍부하고 의미 있는 삶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재구성하여 확인시켜 줍니다. 그녀의 글은 자신의 취약성과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이는 그녀의 지적 탐구를 현실적이고 공감할 수 있게 만듭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강력한 핵심 개념 중 하나는 무언가를 "잃는 것"—길을 잃거나, 확실성을 잃거나, 심지어 옛 자아의 일부를 잃는 것—이 단순히 부재에 관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이 나타날 공간을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것은 미지의 것이 두려워할 대상이 아니라 가능성의 영역임을 시사합니다.
"길 잃기 안내서"는 우리의 인식을 미묘하게 변화시켜, 세상과 우리 자신의 삶을 우리 경험의 많은 부분을 정의하는 미스터리와 불확실성에 대한 더 큰 감상으로 바라보도록 격려합니다. 그것은 사상가, 방랑자, 그리고 지평선의 이끌림이나 익숙한 길을 벗어나는 불안한 스릴을 느껴본 적이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한 책입니다. 본질적으로, 그것은 자신을 완전히 그리고 멋지게 잃게 함으로써 자신을 찾는 방법에 대한 안내서입니다. 성찰적이고 아름답게 쓰인 산문을 통해 마음을 도전하고 확장하는 것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저자 소개
리베카 솔닛Rebecca Solnit은 1961년에 태어난 미국의 작가, 역사가, 활동가입니다. 그녀는 통찰력 있고 광범위한 에세이와 책으로 유명한 매우 존경받고 다작의 작가로, 종종 장르의 경계를 넘나듭니다. 그녀의 작품은 페미니즘(그녀는 "맨스플레인mansplaining"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한 공로를 인정받습니다), 환경주의, 정치, 사회 변화, 기억, 장소, 예술과 같은 주제를 자주 탐구합니다.
솔닛의 글은 박식함, 서정적인 산문,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과 더 넓은 역사적, 문화적 서사를 연결하는 능력으로 특징지어집니다. 그녀는 복잡한 주제를 다루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그녀의 글은 접근하기 쉽고 매력적입니다. 그녀는 종종 보고서와 깊은 성찰을 혼합하여 지적으로 자극적이면서도 감정적으로 공명하는 작품을 만듭니다.
"A Field Guide to Getting Lost" 외에도 그녀의 주목할 만한 책으로는 "Hope in the Dark", "Men Explain Things to Me", "The Faraway Nearby", "Wanderlust: A History of Walking", 그리고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ward를 수상한 "River of Shadows: Eadweard Muybridge and the Technological Wild West"가 있습니다. 솔닛은 Harper's Magazine의 기고 편집자이며 다양한 다른 출판물에 정기적으로 기고합니다. 그녀는 오늘날 글을 쓰는 가장 중요한 공공 지식인이자 에세이스트 중 한 명으로 간주되며, 현대 생활과 그것을 형성하는 힘에 대한 심오한 논평을 제공합니다.
[책] 일생에 한 번은 행복을 공부하라 / Happier, No Matter What by Tal Ben-Shahar
일생에 한 번은 행복을 공부하라Happier, No Matter What 탈 벤 샤하르 Tal Ben-Shahar의 '일생에 한 번은 행복을 공부하라 Happier, No Matter What'는 힘든 시기에도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으
filakia.tistory.com
[책] 미드라이프 마인드 / The Midlife Mind: Literature and the Art of Ageing by Ben Hutchinson
미드라이프 마인드 The Midlife Mind: Literature and the Art of Ageing 벤 허친슨Ben Hutchinson의 ‘미드라이프 마인드The Midlife Mind: Literature and the Art of Ageing’는 문학을 통해 중년의 경험을 심도 있게
filakia.tistory.com
[책]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How Adam Smith Can Change Your Life by Russ Roberts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How Adam Smith Can Change Your Life 러셀 로버츠Russ Roberts의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How Adam Smith Can Change Your Life'은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애덤 스미
filakia.tistory.com
[책] 마음의 오류들 / The Disordered Mind by Eric R. Kandel
마음의 오류들The Disordered Mind 노벨상 수상 과학자 에릭 캔델 Eric R. Kandel의 '마음의 오류들 The Disordered Mind'. 2018년에 출간된 이 책은 우리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뇌에 문제가
filakia.tistory.com